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1

[켄트벡의 구현패턴] ~121p 행위 1. 제어흐름 - 코드가 실행되는 순서(흐름)를 의미 try { // 1 번째 실행흐름 } catch (Exception e) { // 1번째 실행흐름의 예외시 } 실행흐름은 보통 순서대로 수행이 되나 위처럼 try문 내의 흐름만 이루어지거나 예외시 흐름으로만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2. 주요 흐름 - 프로그램 연산에는 주요 흐름이 있다. 위에서 든 예에서 보면 try 문 내에 주요 흐름이 들어가야 하고, 이를 명확히 해야 한다. catch문(예외처리문)이 중요하지 않은것은 아니나 try문이 더 주요한 흐름이기에 그게 더 명확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3. 메시지 - 메시지화 해서 로직을 구현한다. (큰 틀에서 메시지 형태로 구현해두고 세부적인 내용은 메소드 내에서 처리하게끔 하라는 뜻인 것 같다.) ~한.. 2020. 9. 15.
[켄트벡의 구현패턴] ~106p 06. 상태 상태 :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값 (ex 변수) 접근 : 상태에 대한 접근. (public, private 등 접근을 제어 가능) 직접 접근 : 객체 내의 상태(변수) 에 직접 접근. 간접 접근 : 메소드를 통해서 상태(변수)에 접근. (2개 이상의 데이터 간의 의존 관계가 존재하는 경우) 공용 상태 : 클래스 내의 모든 인스턴스에 적용되는 상태가 존재할 경우 필드로 저장해서 공용으로 쓴다. 가변 상태 : 인스턴스 마다 다른 상태를 사용해야 할 경우 필드 저장이 아닌 맵으로 만든다. 외재 상태 : 이해한 바대로라면 지역변수에 가변 상태를 저장하는 경우를 외재 상태로 이해함. 변수 : 변수는 단순한 이름을 갖는게 좋음. (간단하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변수의 생명 기간은 변수의 범위에 가까워지도록 같은 범위.. 2020. 9. 6.
[켄트벡의 구현패턴] ~80p 1. 소개 2. 패턴 프로그래밍에 있어 공통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비용이 적게 듬. 이를 통해 프로그래머가 독창적인 문제 해결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패턴' -> 일종의 바둑의 '기보' 같은 거라고 이해함. 3. 프로그래밍 이론 가치 - 커뮤니케이션 -> 코드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때, 커뮤니케이션 한다고 함. - 단순성 -> 복잡도가 낮은 것. (독자의 수준에 따라 조금 다름. 초보가 어렵다고 보는 걸 고수는 쉽다고 느낄 수 있음) - 유연성 -> 확장이나 수정에 있어서 유연한 정도 (유연성은 복잡도를 증가시키기도 함) 원칙 - 가치는 프로그래머별로 중점을 두는 부분이 달라질 수 있으나, 원칙은 정해진 것. - 가치로 따져서 패턴을 .. 2020. 9. 4.
2020.01.07 오늘 하루 공부 일기 - 무엇을 했나? -> 아샬님 강의 3강 듣기(+복습 3강) : 더 늘릴 필요가 있음. -> 쿠키를 사용한 최근에 방문한 게시판 저장 오류 수정 -> ant를 통한 상용 서버 배포 - 무엇이 어려웠나? 강의는 잘 모르는 부분이 많고, 평소 TDD 방식으로 개발해오지 않은 터라 익숙해질때까지 조금 버벅일 것 같다. 또한 어노테이션 중 모르는 부분과 TDD 관련 함수에 대해 정리할 필요가 있다. 쿠키를 이용한 최근 방문 게시판 저장 오류는 디버깅 해보니 동일 키값으로 저장되어 있는 쿠키가 두개 존재하고 있어서, 확인하여 보니 domain 이나 path값을 다르게 줄 경우 동일한 키값이라도 다른 쿠키로 인식하게 된다고 한다. 예전에 도메인 변경한다고 domain 값을 일괄 수정한 적이 있는데 그때 이 부분도 .. 2020.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