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1

면접관련 질문들... 면접가서 받았던 질문들을 다시 정리해보고 추후 비슷한 질문을 받았을 때, 조금 더 잘 설명하고자 정리해 둠. Q. Weblogic과 Tomcat을 사용해 보았다고 하는데, 둘의 장단점 비교를 하자면..? A. Q. 오라클 DB와 MySql을 둘 다 사용해 보았다고 하는데, 둘을 비교해 보자면..? A. Q. HTTP 규격을 말해보시오? **일단 생각나는 대로 적고, 답변 정리하기.. 2020. 10. 12.
[이펙티브자바] ~76p item 9~12 아이템 9 - try-finally 보다는 try-with-resources 를 사용하라 - 자바 라이브러리 중에는 자원을 사용 후 close 메소드를 통해 직접 닫아주어야 하는 자원들이 있음. (ex InputStream, OutputStream...) - 과거엔 try-finally가 주로 쓰임. - 그러나 try-finally는 자원이 두개 이상 같이 쓰일 경우 코드가 지져분해지기 쉬우며, 물리적 문제 발생시 혹은 try 문 내에 쓰인 자원 메소드 내에서 예외가 발생하여 바로 return 되는 경우 예외 확인이 안될 수 있으며, finally 문에서 예외 발생시에도 예외 상황 확인이 어려울 수 있음. -> try-with-resources 문으로 해결 가능! try (InputStream in = .. 2020. 10. 12.
[이펙티브자바] ~46p 아이템 5~8 - 아이템 5 - 자원을 직접 명시하지 말고 의존 객체 주입을 사용하라 public class FruitChecker { pravate static final Machine sugarCheck = new Machine()... private FruitChecker() {} } 객체 내에 다음과 같이 sugarCheck와 같은 자원을 직접 생성하고 있는데, 이런 방식으로 클래스를 구현하면 (특히나 유틸 클래스) 테스트 하기가 어렵다. public class FruitChecker { private final Machine sugarChecker; public FruitChecker(Machine sugarChecker) { this.sugarChecker = Objects.requireNonNull(sug.. 2020. 10. 8.
[이펙티브자바] ~27p item1~4 아이템 1 -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 ex ) 책 예시 내용 public static Boolean valueOf(boolean b) { return b ? Boolean.TRUE : Boolean.FALSE; } 생성자를 사용하지 않고 위와 같이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사용하는게 좋다는 내용. 생성자 보다 정적 팩터리 메서드가 가지는 장점 1.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아래부터의 예시는 이해한 바대로 만든 것임 new Animal(alive) 이렇게 생성자를 사용하면 '동물' 인 것은 알 수 있으나 단순히 '동물' 임을 알 수 있는데에 반해 '포유류' / '파충류' 등을 구분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정적 팩터리 메서드로 표현할 수 있다. (굳이 생성자를 통해 구분하는 방식인 [매개.. 2020.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