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1

우아한 테크캠프 pro 회고 - 4주차 (1/2) Welcome to the Hell 로.. 월드? 4주차부터 인프라공방 시리즈인 그럴듯한 서비스 만들기 에 돌입했다. AWS를 이용하여 VPC, Subnet, 게이트웨이 등을 구성하고 그간 인수테스트 주도 개발로 경험했던 지하철 노선도 관련 프로젝트를 배포해보는 실습형 미션이었다. 그렇게 지옥문이 열렸다.. Cloud의 활용 AWS 개인 혹은 회사가 서버, 데이터,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프라팀이 존재해야 하고, 주기적으로 이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때때로 이는 밤새 모니터링 하는 인력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관리하게 하면 어떨까?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은 달라지지 않겠지만, 많은 부분의 관리 포인트를 클라우드 업체에서 대신.. 2021. 7. 23.
vi 일괄 치환 명령어 회사에서 원격 캐시를 받아오는 설정 파일 내용 중 원격지 ip를 변경할 일이 있었는데, 일일이 해당 아이피 찾아서 변경하고 있는 나를 본 인프라 담당 부장님이 일괄 치환 명령어를 알려주셨다. 항상 쓰던 명령어만 써서 이런 것들은 정리해두려고 한다. vi로 변경하고자 하는 파일에 들어간 후 :%s/targetString/ChangeString/g 이렇게 치면 된다. targetString 부분에 변경하고자 하는 대상 문자열을 입력하고 ChangeString 부분에 변경하려고 하는 문자열을 입력하면 된다. /g는 파일 전체 내용에 대해 바꾸겠다는 옵션이다(global의 약자인듯...) 2021. 7. 22.
우아한 테크캠프 pro 회고 - 3주차 인수테스트...? 3주차는 ATDD (인수테스트 주도개발) 로 시작되었다. 1. 기존 실패하는 테스트 작성 2. 테스트 성공을 위한 구현 3. 리팩토링 의 절차로 이어지는 TDD에 인수테스트(Acceptance)테스트를 더한 것이 인수테스트의 기본 사이클이라 볼 수 있는데, 쉽게 이해하자면 인수테스트로 결과적으로 나와야하는(리턴) 값이 무엇인지를 정의해둔다. 이를 테스트 코드로 구현한 인수테스트가 있을때, 내부의 로직 구현은 이 인수테스트가 성공하는 상황 아래에서(리턴값이 고정된 상태에서) TDD 사이클을 이용해 구현해 가는 방식이다. (적어도 내가 이해한 바로는 그렇다.) TDD 수업을 들으며 테스트 주도 개발 방식으로 잘 구현해 나가다가도 마지막에 각각 구현된 로직들을 합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구현.. 2021. 7. 20.
우아한 테크캠프 pro 회고 - 2주차 병목 현상의 시작...(?!) 어느덧 2주차가 시작되었다. 2주차의 미션은 JPA미션이었는데, 사실 JPA는 회사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부분이라 살짝 걱정이 앞섰다. 그렇지만 앞으로의 미션에서 JPA는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기에 여기서 꼭 다지고 가야할 부분이었다. 미션 설명 내용만으로도 충분히 JPA에 대해 알 수 있었고, 막상 설계 외에 JPA의 사용에 대해서는 ATDD 수업등을 통해 사용해 본 경험이 있어서 큰 무리는 없었다. 그렇지만, 이번 미션은 테이블 구조만 제공된 상태로 나머지는 본인이 설계를 해야하는 부분이어서 JPA 기본 개념을 확실히 잡고 가지 않으면 어려운 미션이었다. 공부만이 답이다. 개념이 없으면 공부를 하는 수밖에 없다. 개념없는 녀석(?)이 될 수는 없었기에 기존에 수강 신청만.. 2021.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