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the Hell 로.. 월드?
4주차부터 인프라공방 시리즈인 그럴듯한 서비스 만들기 에 돌입했다.
AWS를 이용하여 VPC, Subnet, 게이트웨이 등을 구성하고 그간 인수테스트 주도 개발로 경험했던
지하철 노선도 관련 프로젝트를 배포해보는 실습형 미션이었다.
그렇게 지옥문이 열렸다..
Cloud의 활용 AWS
개인 혹은 회사가 서버, 데이터,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프라팀이 존재해야 하고,
주기적으로 이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때때로 이는 밤새 모니터링 하는 인력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관리하게 하면 어떨까?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은 달라지지 않겠지만, 많은 부분의 관리 포인트를 클라우드 업체에서 대신 해줄 수 있게 된다.
그런 고로 우리는 IDC를 별도로 구성하지 말고 AWS를 써보자-! 라는 것이 요지 (더 긴 설명이 있으나 생략)
우리는 우리의 고민만 하자-! 개발/설계 이것만 해도 벅차니까 😖
AWS의 이점?
서비스의 규모가 갑자기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에 의존하지 않고,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클라우드 리소스를 가져다 사용할 수 있음.
망분리를 하자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망(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망) 과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특정 서버를 통해서만 가능한 내부망(DB 등이 올라가 있는 망) 을 구분하여 사용하자. -> 보안성 증대
망 분리후 접속은 어떻게...?
나는 xShell을 putty 대신 사용중인데, xShell의 점프 호스트 기능을 사용하여 내부망에 접근이 가능했다.
점프호스트 기능은
Bastion 서버 접속 -> 내부망 서버(private) 접속을 xShell 탭 실행시 스크립트를 전송해서 자동으로(바로)
내부망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참고 : https://blog.netsarang.com/ko/2108/xshell-jump-host/
[Xshell] 점프 호스트 | 넷사랑컴퓨터 공식블로그
2019년 8월 1일에 배포한 Xshell 6.0 빌드 0146에 점프 호스트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점프 호스트(Jump host) 기능은 일종의 프록시 기능으로서 최종 목적지 서버에 다가가기 위해 중간 SSH 서버을 거치
blog.netsarang.com
배포시 실행은 어떻게?
스프링 부트는 기본적으로 jar로 변환하여 배포 서버에 올리게 되는데,
java -jar [파일명] &
이렇게 실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렇게 실행시키면 터미널 세션이 끊어질 경우, background로 돌던 프로세스에 hang-up signal이 발생해 죽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해주면 터미널 세션이 끊어져도 문제없다... 고 한다.
nohup java -jar [파일명] &
이렇게 해주면 된다.
'우아한테크캠프pr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아한 테크캠프 pro 회고 - 3주차 (0) | 2021.07.20 |
---|---|
우아한 테크캠프 pro 회고 - 2주차 (0) | 2021.07.14 |
우아한 테크캠프 pro 회고 - 1주차 (0)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