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엇을 했나?
강의는 오늘은 복습 위주로 보았고, 회사에서 작업중에 ant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보았다.
그간 사용한 스프링이나 다른 프로젝트 진행시에는 별도로 컴파일 하지 않아도, 자바 파일을 수정하면 IDE 에서 지원하는 컴파일러 덕분인지 클래스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되었었다.
그런데 회사 프로젝트 중 엄청 고대의 유물급의 프로젝트가 있어서 이 녀석은 리눅스 환경에서 ant라는 라이브러리를 통해 컴파일을 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이 라이브러리를 통해 만드는 것을 모르고, 그냥 javac로 직접 컴파일을 했었는데,
버전관리툴 상으로 가장 최신 버전의 자바 파일을 컴파일 한 것인데 상용에 반영된 클래스랑 파일 사이즈가 너무 달랐다. 그래서 뭔가 이상하다 싶어 메뉴얼을 찾다보니 ant로 컴파일을 하라고 한다.
javac 명령어와 더불어 import 되어 있는 jar 또는 클래스 파일들을 일일이 찾아가며 클래스 패스 옵션으로 작성을 했었는데, ant란 녀석은 정말 간단한 ant명령어와 옵션만으로 자동으로 컴파일이 되었다.
(물론 build.xml(이 프로젝트의 경우인듯?) 에 컴파일 시에 참조할 클래스 패스 등이 적혀있는 것 같았지만.. 한번 설정해두면 추후 작성이 필요없다는 이점이 있는듯하다.)
간단히 컴파일이 되고 파일 용량도 동일했다. 다만, 왜 ant로 컴파일한 클래스 파일과 javac로 컴파일한 클래스 파일이
용량이 다를까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조금 더 찾아보아야 할 듯 하다.
- 무엇이 어려웠나?
- 왜 ant로 컴파일한 클래스 파일과 javac로 컴파일한 클래스 파일이 용량이 다를까?
-> 컴파일 시에 들어가는 옵션 등으로 작성되는 매개변수를 확인해 보는 게 좋겠고, 그것이 완전히 동일하다면
주석정보나, javadoc 정보 등이 포함 혹은 미포함됨으로 인한 파일 사이즈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동일 버전의 jdk로 컴파일 된 것인지 확인해봐야 한다.
- 다음엔 어떻게 할 것인가?
이 부분 또한, 검색하는대로 업데이트 하면서 내용 정리를 해야겠다.
'개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2 DB] JDBC URL 초기화 하기(or 다른 URL로 변경하기) (0) | 2021.09.13 |
---|---|
2019.12.19 하루 공부 일기 (0) | 2019.12.19 |
2019.12.16 하루 공부 일기 (0) | 2019.12.16 |
화면단에서 리다이렉트 하기(javascript redirect) (0) | 2019.09.08 |
개발일기 시작 (0) | 2019.09.03 |